건강칼럼
H > 커뮤니티 > 건강칼럼
제목
다이어트 최대의 적, 식욕…‘이것’ 반복해서 보면 포만감 느낄 수 있다
식욕은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 극복하기 가장 어려운 걸림돌 중 하나다. 적게 먹을수록 식욕은 더 왕성해져 과식하거나 야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. 그런데 최근 식탐 조절이 어려운 다이어터들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. 음식 사진을 30번 반복적으로 보면 실제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.
덴마크 오르후스대(aarhus university) 연구팀은 음식 사진을 반복적으로 보기만 해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. 다만, 충족 조건이 있다. 같은 사진을 30번 반복해서 봐야 한다는 것이다. 연구팀은 먼저 1,149명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에는 주황색 m&m 초콜릿 사진을 3번, 다른 그룹에는 같은 사진을 30번 반복해 보여줬다. 이후 참가자들에게 m&m 초콜릿을 얼마나 원하는지 물어본 결과, 사진을 30번 본 그룹이 더 적은 개수를 먹기를 선택했다. 3번 반복해 사진을 본 그룹은 평균 6.3개의 초콜릿을 요구한 반면, 30번 본 그룹은 평균 5.6개를 요구했다. 초콜릿의 종류나 색깔을 바꿔도 결과는 같았다. m&m 색깔을 바꿔 진행한 실험에서도, 스키틀즈(skittles) 젤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론이 도출됐다. 앞서 사용된 초콜릿과는 달리 스키틀즈는 색깔에 따라 맛이 다르다. 차크 안데르센(tjark andersen) 연구원은 “이것은 포만감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색상과 맛 이상의 매개 변수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”고 말했다."뇌를 속여서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것"어떻게 사진만 보고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걸까. 안데르센 연구원은 “실제로 아무 것도 먹지 않고 포만감을 느낀다는 것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”이라며, 우리가 음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식욕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. 이어 그는 “식욕과 인지적 인식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”고 덧붙였다. 이러한 현상은 소위 현실에 기반을 둔 인지이론으로 설명된다. 예를 들어, 사과를 베어 무는 상상을 하면 실제 사과를 먹을 때와 같은 뇌 영역이 자극을 받는다. 생각만으로 생리적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. 마찬가지로 음식을 먹는 상상을 반복해서 하면 실제 음식을 먹을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자극돼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."체중 감량 전략으로 사용 가능해"1975년 이래로 전 세계적 과체중 인구는 3배 증가했다. 세계보건기구(who)에 따르면 비만은 인간이 직면한 가장 큰 건강 문제 중 하나다.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식욕 조절 및 체중 감량 전략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했다. 다만, 음식 사진을 적게 보면 오히려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. 본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‘식욕(appetite)’에 게재됐다.
덴마크 오르후스대(aarhus university) 연구팀은 음식 사진을 반복적으로 보기만 해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. 다만, 충족 조건이 있다. 같은 사진을 30번 반복해서 봐야 한다는 것이다. 연구팀은 먼저 1,149명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에는 주황색 m&m 초콜릿 사진을 3번, 다른 그룹에는 같은 사진을 30번 반복해 보여줬다. 이후 참가자들에게 m&m 초콜릿을 얼마나 원하는지 물어본 결과, 사진을 30번 본 그룹이 더 적은 개수를 먹기를 선택했다. 3번 반복해 사진을 본 그룹은 평균 6.3개의 초콜릿을 요구한 반면, 30번 본 그룹은 평균 5.6개를 요구했다. 초콜릿의 종류나 색깔을 바꿔도 결과는 같았다. m&m 색깔을 바꿔 진행한 실험에서도, 스키틀즈(skittles) 젤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론이 도출됐다. 앞서 사용된 초콜릿과는 달리 스키틀즈는 색깔에 따라 맛이 다르다. 차크 안데르센(tjark andersen) 연구원은 “이것은 포만감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색상과 맛 이상의 매개 변수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”고 말했다."뇌를 속여서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것"어떻게 사진만 보고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걸까. 안데르센 연구원은 “실제로 아무 것도 먹지 않고 포만감을 느낀다는 것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”이라며, 우리가 음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식욕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. 이어 그는 “식욕과 인지적 인식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”고 덧붙였다. 이러한 현상은 소위 현실에 기반을 둔 인지이론으로 설명된다. 예를 들어, 사과를 베어 무는 상상을 하면 실제 사과를 먹을 때와 같은 뇌 영역이 자극을 받는다. 생각만으로 생리적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. 마찬가지로 음식을 먹는 상상을 반복해서 하면 실제 음식을 먹을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자극돼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."체중 감량 전략으로 사용 가능해"1975년 이래로 전 세계적 과체중 인구는 3배 증가했다. 세계보건기구(who)에 따르면 비만은 인간이 직면한 가장 큰 건강 문제 중 하나다.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식욕 조절 및 체중 감량 전략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했다. 다만, 음식 사진을 적게 보면 오히려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. 본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‘식욕(appetite)’에 게재됐다.